삼성전자10 한국의 언론은 왜 이러나? 대한민국에서 언론은 공정한가?국민이 알아야 할 진실을 그대로 전달하는가?이 질문에 대해 "그렇다"고 답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신뢰수준은 이미 통계로 꼴지야. 한국의 언론, 특히 거대 신문사들과 경제지들은 진실을 감추고, 조작하고, 특정 세력과 기업을 위해 국민을 속이는 일에 능숙하지.오늘은 조선일보와 한국경제를 사례로 들어 한국 언론이 어떻게 국민을 기만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이야기해 보려해.1. 최근 사례1 : 조선일보 – 권력의 방패가 된 언론한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신문이 어디냐고 물으면, 아마 많은 사람이 조선일보를 꼽을 거야.그런데 조선일보가 하는 일이 국민을 위한 언론 감시인가?아니.조선일보는 감시자가 아니라, 특정 권력의 보호막이 되어버렸어... 우리사회 이야기 2025. 2. 26. 더보기 ›› 삼성전자, 위기의 해법이 고작 ‘더 많이 일하라’인가? 요즘 삼성얘기를 많이 하게 되네.삼성전자가 주 52시간제 완화를 언급하며 ‘더 많이 일하면 성과가 난다’는 해묵은 논리를 들이대고 있어.반면, 경쟁사인 SK하이닉스는 근무시간을 줄이고도 오히려 더 높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사실.그렇다면 문제는 뭘까?정말 삼성전자가 위기에 빠진 이유가 주 52시간제 때문일까?아니면, 경영진이 근본적인 문제를 외면하고 있는 걸까?오늘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비교하면서,근무시간과 기업 성과의 관계를 냉정하게 분석해볼게.1️⃣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말하는 삼성과 SK하이닉스의 차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란?기업이 단순한 매출·이익뿐만 아니라, 인력관리·사회적 기여·환경 지속 가능성 등을 평가하는 연례 보고서야.이 보고서를 보면, 기업이 얼마나 미래를 대비.. 자본주의 이야기 2025. 2. 25. 더보기 ›› 애플이 보급형까지 장악하면 삼성은 어디로 갈까? 솔직히, 예전 같았으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이 애플과 경쟁한다는 게 당연하게 느껴졌어.하지만 요즘은 분위기가 좀 많이 다르지.최근 출시한 갤럭시 S25 시리즈가 잘나고 있지만, 이건 국내 이야기고,가격동결 정책도 고육지책이라고 봐. (물론 소비자 입장에선 좋지만 말야)애플은 플래그십 시장을 장악한 것도 모자라, 이제 보급형 시장까지 들어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그리고 이 흐름이 계속되면, 삼성은 점점 더 애플의 그늘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질 거야.갤럭시 유저로서, 대한민국의 한 사람으로서 이 흐름이 꽤 불안하게 느껴지는 이유를 정리해봤어.1. 스마트폰 시장, 삼성은 점점 뒤로 밀리고 있다2024년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 1~3위는 전부 아이폰.반면, 삼성의 최고 인기 모델은 갤럭시 A15 .. 자본주의 이야기 2025. 2. 22. 더보기 ›› 트럼프의 반도체 관세 폭탄, 삼성·SK는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트럼프가 또다시 관세 폭탄을 예고했어. 이번 타깃은 자동차와 반도체.평소 내가 신뢰하지(?) 않는 조선일보 기사를 보니까 "트럼프가 재집권하면 자동차·반도체에 어마어마한 관세를 때릴 것"이라며 으름장을 놓았다고 하더라.반도체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 이거 정말 위기일까?사실 이런 기사들을 보면 “이제 삼성·SK하이닉스도 미국에 팹(반도체 공장)을 지어야 한다”는 반응이 나오기 마련이야.그런데 말이야, 그게 진짜 답일까?나의 페친이 분석한 글이 있어서 벗들도 함께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서 나름대로 정리를 해봤어.이걸 정리하면서 한 가지 확실해진 게 있어.트럼프의 관세 정책, 정신만 바싹차리면 우리가 손해 보는 게임이 아니라는 것.차근차근 보자구.한국 반도체, 정말 미국 없으면 큰일 날까?✔ 삼.. 자본주의 이야기 2025. 2. 20. 더보기 ›› 삼성전자, 이대로 괜찮은가? 주식 갖고 있는 사람 초대박이라는데... 참 허탈해... 벗, 눈에 띄는 삼성전자 관련 기사가 떴어. 삼전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온갖 매체에서 “초대박!”이라고 외치고 있어.자사주를 3조 소각하고 3조를 추가 매입 한다는 소식이더군.하지만 진짜로 우리가 환호해도 되는 일인지 의문이 들어.왜냐고? 자사주 매입이 일시적으로 주가를 부양할 뿐,정작 기업 경쟁력은 제대로 올라가고 있지 않아 보이거든.자사주 매입, 정말 주주가치 제고일까?삼성전자가 자사주를 매입한다는 소식이 들릴 때마다,공식 발표는 늘 비슷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라고.그런데 뒤를 살펴보면, 이재용 일가의 지분율 방어 목적이 더 크다는게 뻔하다는 거야.✔️ 이재용의 대출 담보 방어이재용이 금융권 대출을 받을 때, 삼성전자 지분이 담보로 잡혀 있다는 얘기는 익히 알려진 사실.주가가 너무 떨어져서.. 자본주의 이야기 2025. 2. 19. 더보기 ›› 728x90 LIST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