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럼프의 반도체 관세 폭탄, 삼성·SK는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ziptory78 2025. 2. 20.
728x90

트럼프가 또다시 관세 폭탄을 예고했어. 이번 타깃은 자동차와 반도체.
평소 내가 신뢰하지(?) 않는 조선일보 기사를 보니까 "트럼프가 재집권하면 자동차·반도체에 어마어마한 관세를 때릴 것"이라며 으름장을 놓았다고 하더라.
반도체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 이거 정말 위기일까?

사실 이런 기사들을 보면 “이제 삼성·SK하이닉스도 미국에 팹(반도체 공장)을 지어야 한다”는 반응이 나오기 마련이야.
그런데 말이야, 그게 진짜 답일까?

나의 페친이 분석한 글이 있어서 벗들도 함께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서 나름대로 정리를 해봤어.
이걸 정리하면서 한 가지 확실해진 게 있어.
트럼프의 관세 정책, 정신만 바싹차리면 우리가 손해 보는 게임이 아니라는 것.
차근차근 보자구.

한국 반도체, 정말 미국 없으면 큰일 날까?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전 세계 D램 시장의 75.5%를 차지하고 있어.
나머지 22.2%는 미국 마이크론이 차지.
즉, 이 세 회사가 글로벌 D램 시장의 97.7%를 독점하는 구조야.

 

이 말은 뭐냐? 우리가 미국에 반도체를 수출하지 않으면 미국도 큰일 난다는 거야.

흔히 반도체 수출을 보면 우리가 미국에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삼성·SK하이닉스도 미국 반도체 장비 없이는 생산이 불가능해.
즉, 미국이 우리한테 관세를 때리면, 우리도 반격할 카드가 있다는 거지.

삼성·SK가 미국에 팹을 지으면 해결될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게 단순한 문제가 아니야.

1️⃣ 미국에 팹을 짓는다고 관세 문제가 해결될까?
아니야. 트럼프가 언제 그런 거 봐줬냐?
미국 내에 공장이 있어도 수입 제품이라고 하면 세금 물릴 수도 있어.

2️⃣ 팹 건설에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
→ 미국에서 공장을 짓는 데 드는 비용은 한국보다 3배 이상 높아.
→ 그럼 삼성·SK가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정부 지원금(보조금)이 필수적이야.
→ 그런데 미국 정부가 지원금 많이 줄 것 같아? 트럼프는 기본적으로 보호무역주의자야.

3️⃣ 반도체 공급 과잉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
→ 미국에 팹을 짓는다고 공급이 늘어나면?
→ 반도체 가격이 떨어지고, 결국 한국 기업이 더 큰 타격을 받을 수도 있어.

4️⃣ 지금 공장을 시작해도 3년 뒤에나 가동 가능.
→ 트럼프의 임기는 그때쯤이면 끝나 있을 가능성이 커.
→ 그럼 정권 바뀌면 정책도 바뀔 텐데, 굳이 미국에서 공장을 지어야 할까?

미국의 의도는 무엇인가?

트럼프가 한국 반도체에 관세를 때리는 이유는 단순히 무역 불균형 때문이 아니야.
이건 미국의 반도체 패권 전략과 관련된 문제인 듯.

첫째, 마이크론의 시장 점유율을 키우기 위해서.
→ 삼성과 SK가 미국에 팹을 안 짓고 관세 부담이 커지면?
→ 미국의 마이크론이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커.

둘째, 대중국 반도체 공급망을 통제하려는 전략.
→ 미국은 한국 반도체 기업들을 미국 시장에 묶어두려 하고 있어.
→ 그래야 삼성·SK가 중국과 협력하는 걸 막을 수 있거든.

하지만 현실적으로 삼성·SK를 배제하고 마이크론만 남기는 건 미국에도 큰 리스크야.
→ 한국 반도체 없으면 미국 IT 기업(애플·엔비디아·퀄컴 등)도 타격을 받아.
→ 그러면 결국 미국도 손해라는 거지.

삼성과 SK하이닉스,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미국의 관세 정책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면, 삼성과 SK하이닉스도 대응 전략을 다각도로 고려해야 해.
하지만 무조건 미국에 팹을 짓는 건 최악의 선택일 수도 있어.

섣불리 미국에 팹 짓지 말고, 냉정하게 계산해야 한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나온다고 해서 무조건 미국에 공장을 지을 필요는 없어.
오히려 지금은 다른 시장(유럽·중국 등)과의 협력을 강화할 타이밍이야.
삼성과 SK하이닉스가 해야 할 일은 섣부른 투자 결정이 아니라, 철저한 계산과 전략적 대응이야.

 

삼성의 오너가 이야기를 잘 봤으면 해.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