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2 나의 편파적인 한국현대사 - 나의 대통령 ③ 노태우 1. 1987년 대선 – 6월 항쟁 이후 다시 군인이 대통령이 되다1987년 대한민국은 거대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다. 6월 항쟁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시민들은 더 이상 군사정권의 억압을 용인할 수 없었고, 전국적인 시위는 마침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냈다. 이는 6월 민주항쟁이 만들어낸 가장 큰 성과였지만, 문제는 새로운 정치 체제 아래에서 또다시 군 출신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는 점이었다.대선이 다가오자 신군부 출신이자 전두환의 후계자로 지목된 노태우가 민정당 후보로 나섰다. 그는 “보통사람의 시대”를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우며 본인의 군 출신 경력을 희석하려 했지만, 본질적으로는 12.12 군사반란과 5.18 학살을 함께한 인물이었다. 하지만 당시 야권은 김영삼과 김대중이 끝내 단일화에 실패.. 우리사회 이야기 2025. 3. 17. 더보기 ›› 나의 편파적인 한국현대사 - 나의 대통령 ② 전두환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독재자, 그리고 한국 민주주의의 최대 걸림돌"1. 12.12 군사반란 – ‘구국의 영웅’을 자처한 쿠데타 세력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탄에 쓰러진 후, 대한민국은 잠시나마 권력의 공백 상태를 맞이했다. 하지만 이 틈을 노리고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조직적이고 치밀한 군사반란이 벌어졌다.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을 필두로 한 신군부는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체포하고 군 지휘권을 장악한 뒤, 서울 시내에 군을 배치하여 쿠데타를 완성했다.그들은 스스로를 "구국의 영웅"이라 포장하며, 박정희의 죽음 이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 주장했다. 하지만 그 본질은 철저한 권력 탈취였다. 국군보안사령관이었던 전두환은 하나회를 중심으.. 우리사회 이야기 2025. 3. 17. 더보기 ›› 728x90 LIST 이전 1 다음